1. 주요 지표와 이벤트
■ 일자 : 2023-05-16
■ 개요 :
- 코스피 상승마감 : 2,480.24 (+0.04%)
- 코스닥 상승마감 : 816.75 (+0.27%)
- S&P : 4,136 (+0.3%)
- 달러 환율 : 1,339.50
- 금 시세 : 2022.7
- 유가 WTI : 71.11
2. 달러 분석
https://ipbstory.tistory.com/178
지난 3월에 썼던 글로, 그때 이후로도 계속 강달러의 기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단순 금리뿐만 아니라 미국의 디폴트로 달러 강세에 더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이번 연준은 과연 예정대로 금리인상을 할지 궁금해지네요.

1) 계속되는 달러 환율 상승 (환율 1,340원 돌파)
원·달러 환율이 미 달러화 강세 흐름을 쫓아 5거래일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흐름이 이어져 환율이 ‘심리적 저항선’으로 꼽히는 1350원 수준을 넘어설 경우, 1400원대까지 오를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15일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334.5원)보다 2.5원 오른 1337.0원에 거래를 마쳤으며, 환율은 지난 9일부터 5거래일째 상승세를 타며 누적 15.6원 올랐습니다.
특히 이날 환율은 장중 1341.9원까지 오르며 장중 고가 기준 지난 2일(1342.9원) 기록했던 연고점을 위협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1340원 부근에서 외환 당국 개입에 대한 경계심과 수출업체 네고물량(달러 매도)이 유입되면서 상단을 낮춘 것으로 분석됩니다.
2) 환율 급등의 주요원인 : 미국의 금리인상카드와 미국의 디폴트 우려
최근 들어, 달러화는 미국의 중소 지역은행 불안과 연방정부 디폴트 우려 등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심리에 달러 강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엎친데 덮친 격으로 FOMC에서 추가 금리인상카드를 사용한다면 한국입장에선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참고로 사실 금리를 인상한다하더라도 무조건 환율 인상으로 되는 것은 아닙니다)
3) 달러환율과 코스피지수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주식투자하시는 분들 계속 하시다보면, 달러와 지수의 움직임이 어느 정도 규칙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은 달러환율과 코스피지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죠. 지수가 상승하면 달러가치는 하락하고, 지수가 하락하면 달러가치는 상승합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a. 안전자산 역할을 하는 미국달러 - 금융위기 등 위기가 나타나면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안전자산으로 고려되는 미국달러와 금이 가격을 상승하게 되죠. 즉, 위기로 코스피 지수는 상승하는데, 미국달러는 반대로 상승하게 되는 격이죠.
b. 미국달러 가치 상승은 외국인에겐 투자 기회 - 달러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외국인 투자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1달러 = 1,500원일 때 한국에서 1,500원짜리 주식을 매수하고 추후 환율이 하락하여 1달러 = 1,000원일 때 다시 1,500원짜리 주식을 팔아 환전을 하게 되면 1.5달러로 환전할 수 있게 됩니다. 즉,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주식 가치가 변동이 없어도 환율변동만으로도 수익을 올릴 수 있게 됩니다.
등등 여러 요인들이 영향을 줍니다.
4) 앞으로 흐름은?
앞으로도 미국의 대응과 미국의 디폴트 가능성 등에 따라 추가적으로 미국환율이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미국 FOMC에서 금리인상이 아닌 현재 세계 경제흐름을 고려하여 경제 안정화에 힘쓰겠다는 의견을 내비치게 된다면 환율 상승에 브레이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통계청 - 실업률 3%, 그러나 실체는? (8) | 2023.08.04 |
---|---|
[경제] FOMC 란? (2) | 2023.07.21 |
[경제] 2023 배당주 / 순위별 정리 (3) | 2023.05.13 |
[경제] 주가와 금리관계 (9) | 2023.05.07 |
[주요이슈] TOP10 수출품목, 수입품목 (3) | 2023.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