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경제] 주요지표 / 달러 분석 (최근 급등흐름)

BS blog 2023. 3. 1. 22:28
반응형

1. 주요 지표와 이벤트

 ■ 일자 : 2023-02-28
 ■ 개요 :

 - 코스피 상승마감 :  2,412.85 (+0.42%)

 - 코스닥 상승마감 : 791.6 (+1.45%)

 - S&P : 3,970 (-0.3%)

 - 달러 환율 : 1,310

 - 금 시세 : 1836

 - 유가 WTI : 77.05

 

 

2. 달러 분석

요즘 달러 움직임이 다시 심상치 않습니다. 물품 등 수입진행할 때 달러로 구매하는데 달러환율상승으로 물건 가격이 날마다 다른 게 느껴지네요. 사실 몇 년전에 비해서 달러가치가 너무 많이 상승하였습니다. 고달러가 고착화될지..

2022년 10월 금리인상 등으로 고점인 1,442.50도달 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다시 1,300대를 돌파하는 흐름을 만들고 있다.

 

 



1. 다시 시작된 달러 환율 상승 (2월 28일 환율 1,320 안착)


28일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1,323.0보다 0.4원 내린 1,322.6원에 거래를 마치며 1,320원에 안착하였습니다. 3거래일 만에 하락 전환을 하였지만 아직 추세가 죽지도 않았고, 미국의 금리인상 카드가 남아 추가상승도 가능한 시점입니다. 
또한 영국과 유럽연합이 북아일랜드 관련하여 새로운 브렉시트 협약에 합의하면서 경제시장에 새로운 흐름이 나올 수 있어, 불안감이 형성된 점도 새로운 요소입니다.

 


2. 환율 급등으로 외환 당국 난처


환율이 최근 1300원을 다시 돌파하는 등 고공행진을 하자, 외환 당국은 외환수급 동향을 점검하고 향후 외환 수급상 쏠림이 나타나지 않도록 면밀히 모닝터링 해나가기로 하였습니다. 사실 한국의 가계부채비율이 높은 상황에서 금리까지 올려 경제흐름이 좋지 않은데 다시 환율이 급등하는 건 경제당국 입장에선 참으로 불안한 흐름입니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제1차관님은 이날 오전 국제금융센터에서 열린 외환건전성협의회에서 "미 연준의 긴축 장기화 우려로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국제 경제·정치 상황의 변화가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국내 외환·금융시장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외화자금 유출입 모니터링 등에 긴밀히 공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3. 환율 급등의 주요원인 : 한미간의 금리차이와 미국의 금리인상카드 


개인적으로, 환율 급등의 가장 큰 원인은 한미간의 금리차이와 추가적으로 미국의 금리인상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특히 한국은 국내 경기흐름과 부동산 시장이 매우 침체되면서 금리인상 속도를 늦추고, 버거워하고 있는 상황에 미국의 경제흐름은 양호하며 인플레이션을 잡고자 하는 의도를 명백히 내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음 달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 '빅스텝'(0.5%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많은 이들이 말하고 있죠.


4. 앞으로 흐름은? 


개인적으로, 금리 격차가 더 벌어진다면 단기적으로 환율 추가상승은 어쩔 수 없을 듯합니다. 그러나, 단기가 아닌 장기적 측면에서 본다면, 한국경제 부채가 많긴하지만 펀드멘탈적으로는 문제가 없으므로 1,200대까지 도달하며 어느 정도 안정권을 형성하지 않을까 라고 예상해봅니다.

우리은행 연구원에서는 "미 연준 통화정책을 둘러싼 강달러가 지속되고 있고 중국 성장 회복 전망에도 국내수출 부진이 장기화 될 우려가 커지고 있어 당분간 원화 약세가 이어질 전망"이라며, 환율 상승에 대해 언급하고 있네요. 특히  "원화가 대외 불확실성에 민감한 만큼 원·달러 환율이 1350원까지 오를 수 있다"며 환율상승을 언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