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경제] 홍콩증시의 반전, 수익률 1위 달성 (세계 지수 기준)

BS blog 2023. 1. 23. 20:00
반응형

1) 2022년 급락했던 홍콩 H지수 -> 조금씩 상승세를 보여
2022년 중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 코로나로 인한 봉쇄 정책 등으로 홍콩 증시가 유난히 급락했던 한 해였습니다. 그 당시 홍콩 증시에 대한 비관적인 의견이 많이 나왔었죠. 한 때 12,000포인트까지 도달했던 홍콩 H지수가 2022년에는 4,900까지 하락하며 원금 50%이상 손해 본 투자자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러나, 동 트기 전이 가장 어둡다더니 비관적인 뉴스로 가득한 홍콩증시가 2022년 10월부터 조금씩 상승하더니 세계 증시에서 최고 상승률을 만들었죠. 4,900포인트였던 지수에서 50%이상 상승한 7,500포인트까지 도달했습니다.

출처 : 구글 금융

 

2) (2023년 1월, 1개월 기준) 홍콩 레버리지 ETF 수익률 20%이상
홍콩 증시 상승세는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하면서 급격히 방향이 전환되었던 기억이 납니다.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 인한 리오프닝 기대로 계속 상승하면서 국내 증시에 상장된 해외 상장지수펀드(ETF) 투자자들에게 HTS 여는 건 즐거운 일이 되었죠. 
(2023년 1월, 1개월 기준) 기준홍콩 증시에 투자하는 레버리지 ETF는 25%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중국, 홍콩관련 증시 수익률 비교, 기간 1월 2일 ~ 1월 20일]
a. (홍콩) KODEX 차이나 H레버리지(H)  25.17% 상승
b. (홍콩) TIGER 차이나항셍테크레버리지 (합성 H) 23.41% 상승
c. (중국) KOSEF 차이나A50 커넥트레버리지 MSCI (합성 H) 18.08% 상승
d. (홍콩) KODEX 항셍테크 8% 상승 

해당 수익률은 2023년 1월 기준이며, 2022년 10월 상승 시작부터 본다면 40%이상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3) 베트남, 유럽 지수를 추종하는 ETF 또한 높은 수익률 기록
올해 들어, 베트남과 홍콩, 유럽 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였습니다. 1월 2일~ 1월 20일 기준으로 ‘ACE 베트남VN30선물블룸버그레버리지’ ETF는 23.42%  상승했으며, 국내 증시에 상장된 ETF 중 수익률 2위를 기록했습니다.

‘ACE 베트남VN30선물블룸버그레버리지’는 베트남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VN30지수의 선물 지수인 블룸버그 VN30 선물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2배로 추종하는데, 해당 지수는 베트남 호치민 거래소 상장종목 중 대표 30종목을 기준으로 산출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베트남 주요 기업 30개 종목을 분산 투자하는 것과 같습니다.

해당 ETF 상승 요인에는  베트남 정부가 국영기업의 민영화를 추진한다는 소식과 지난해 지수가 크게 하락하며 가격 매력이 더해지면서 외국인 매수세가 집중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세계 공장이라 불리는 중국의 인건비 등 각종 비용이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베트남에 대한 투자가능성 증가 + 성장률 기대가 증가되면서 베트남 증시의 상승을 가속화시켰습니다.

또한,  베트남뿐 아니라 유럽 지수를 추종하는 ‘TIGER 유로스탁스50 레버리지’ ETF는 각각 16.95%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2023년 1분기 세계 증시의 시작점은 좋은 흐름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4) 한국 시장은 2,400까지 상승! 그러나 하락폭에 비해 만족스럽지 못한 상승
코스피, 코스닥도 '1월 효과'(보통 새해에 낙관적인 전망이 반영되면서 주가가 많이 상승하게 되는 현상) 가 나타나는 것인지, 1월에는 나름 준수한 성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홍콩 지수에 비해 상승률은 높지 않지만 그래도 중국 경제 리오프닝 기대감과 코로나 규제 완화 등으로 화장품주 강세 / 환율 하락으로 외국인 매수세 유입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가며 2,400대를 터치하기도 했죠. 2023년 1월에만 2,200대에서 2,400까지 상승하며 약 9% 상승세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과거 3,000대를 생각하면 아직도 아쉬운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조금 더 분발하여 다시 3,000대를 보았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