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코로나 때 핫했던 유가관련 상품을 정리해볼까 합니다.
코로나 때 역사에 기록될 마이너스 유가..잊혀지지 않네요..그랬던 것이 벌써 40달러 근처에서 놀고 있다니..!!!!!
증권시장 함부로 예상하지 마라더니 예상치 못한 일들이 계속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유가 변동성만큼 유가 관련 상품 변동성도 엄청났죠. 그만큼 수익난 사람은 엄청나게, 손해본 사람은...엄청난 손실이었겠죠..그런 뼈아픈 얘기는 그만하고 빨리 상품별로 알아보겠습니다!
#1 KODEX 시리즈 ETF (삼성자산운용 - 삼성이신 거 모르는 분이 많아서 제목으로 적어드려요^^)
KODEX WTI 원유선물(H) (261220)
- S&P GSCI Crude Oil Index Excess Return의 수익률을 추적하는 상품 / 일명 1배수 유가로 더 알려져 있죠 ㅎㅎ
- 매월마다 롤오버 비용 발생 (최근엔 마이너스 유가로 상폐를 막기 위해, 안전성을 고려하여 삼성에서 롤오버 기준을 갑자기 바꾼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것도 갑자기 공시 뚝 하나 하고 바꿨버렸다는.. 참 할만 많은데 참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피해를 보고 현재 소송진행중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롤오버 기준 매월하는지 꼭 다시 확인하시고 투자하시길!)
- 보수비용 : 0.350%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KODEX WTI원유선물 인버스(H)(271050)
- WTI원유 선물 가격 하락 시, 수익을 내는 구조로, 위의 상품과 반대로 움직이는 상품입니다 / 1배수 인버스 상품입니다. 즉, 유가가 오르면 하락하고, 유가가 하락하면 상승하는 상품입니다.
- 매월마다 롤오버 비용 발생
- 보수비용 : 0.350%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2 TIGER 시리즈 ETF (미래에셋)
TIGER 원유선물Enhanced(H) (130680)
- S&P GSCI Crude Oil Index Excess Return의 수익률을 추적하는 상품 / 이 제품 또한 1배수입니다. 그럼 이 제품은 코덱스와 무엇이 차이? 롤오버에서 KODEX와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 롤오버 비용 발생 :
(1) WTI원유선물의 최근월물과 차근월물의 가격차가 0.5% 미만인 경우 차근월물(2번째 근월물)로 롤오버
(2) WTI원유선물의 최근월물과 차근월물의 가격차가 0.5% 이상인 경우 발생시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롤 오버
⇒ 발생시점이 상반기(1월~6월)인 경우 : 당해년도 12월물로 롤오버
⇒ 발생시점이 하반기(7월~12월)인 경우 : 익년도 12월물로 롤오버
• 최근월물 : 현재 시점에서 만기도래가 가장 먼저 임박한 월물
• 차월물 : 최근월물 이후에 만기가 도래하는 매월물들을 통칭
• 차근월물 : 차월물들 중 최근월물 이후 최초로 만기가 도래하는
간단히 말해서 KODEX보다 TIGER원유선물은 롤오버를 매번하는 것이 아니라, 유도리있게 롤오버 함으로써, 횟수적으로 더 작습니다. 그리고 KODEX는 롤오버 비용때문에 장기적 매매는 위험한 상품입니다. 그러나 TIGER 원유선물 Enhanced는 장기적 매매가 가능한 상품이죠.
이번 코로나때 변동성을 보더라도 KODEX쪽이 훨씬 더 변동폭이 컸고, 위험성이 있어 보였으나, TIGER는 안정적인 변동폭을 작게 그리면서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였죠.
- 보수비용 : 0.700% (KODEX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요)
TIGER 원유선물인버스(H) (217770)
- WTI원유 선물 가격 하락 시, 수익을 내는 구조로 / 1배수 인버스 상품입니다. 즉, 유가가 오르면 하락하고, 유가가 하락하면 상승하는 상품입니다.
- 매월마다 롤오버 비용 발생 (KODEX와 동일)
-보수비용 :0.700% (KODEX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요)
#3 KBSTAR 미국 S&P 원유생산기업(합성 H)
- 이 상품 WTI유가와 직접 관련은 없어도, 상관계수는 높은 제품입니다. 즉, 유가와 비슷하게 흘러간다는 뜻입니다. 이 상품은 미국 주식시장 상장기업 중 원유/가스탐사 및 생산하는 기업으로 구성된 S&P Oil & Gas Exploration & Production Select Industry 지수를 추종합니다. 기업과 관련있다보니 마이너스 유가가 발생했을 때 상폐위기가 상대적으로 낮아서 이쪽으로도 많이 몰려들었었죠 ㅎㅎ
- 롤오버 비용 없음!! 이게 가장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유가 관련 상품인데 롤오버가 없다니.....상당한 메릿트죠.
-보수비용 :0.25%
끝!
오늘은 유가 관련 ETF대해 알아봤는데, 사실 유가관련 상품으로 ETF말고도 ETN이라는 상품도 있습니다. ETF보다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크죠...그만큼 확신이 있거나 믿음이 있는 사람에겐 좋은 상품이겠죠? ETN에 대해선 다음에 글 쓰도록 하겠습니다.
ETF 또한 좋은 매매를 한다면 좋은 수익이 될 수 있으니, 참조하시는 것도 좋은 것 같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그럼 좋은 하루!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사주 매입? 호재인가? (0) | 2020.06.12 |
---|---|
6월 11일, 예상대로 조정 장이 되다. (0) | 2020.06.11 |
다우 지수, 쉽게 확인하는 방법 (0) | 2020.06.08 |
이번 주 주요 이슈 (6월 8일 ~ 6월 12일) (0) | 2020.06.07 |
6월 첫째 주 주요 이슈 및 호재 (0) | 2020.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