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국제유가] 원유투자, 유가투자하는 방법

BS blog 2021. 12. 7. 00:58
반응형

최근 물가가 계속상승하면서 유가도 천정부지로 올랐었죠. 최근 조정국면에 도달했지만요.

우리가 말하는 국제유가란 국제 석유시장에서 거래되는 3대 유가 거래가격을 말합니다. 즉 대표 3종의 국제적으로 매매되고 있는 원유가격을 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석유는 전세계적으로 160종이 넘는 종류가 있습니다. 수억년동안 퇴적된 유기물이 다르기 때문에 이렇게 다양한 종류가 존재합니다. 160종이 넘는 원유 중에서 기준이 되는 국제 원유는 WTI, 브렌트유(Brent), 두바이유(Dubai) 3종이며, 보통 국제유가 급등을 말하면 이 3가지의 가격이 급등할 때를 의미하죠.

 

세계 3대 원유

(출처 : 대한석유협회)


1. WTI (뉴욕상업거래소(NYMEX)와 미주지역 석유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원유의 가격을 결정하는 기준)

WTI 는 WEST TEXAS INTERMEDIATE로 서부텍사스중질유를 의미하며, 저유황 경질유입니다. 경질원유임에도 불구하고 Intermediate(중간단계) 라고 표시되는 이유는 텍사스 중간, 가운데 지역에서 생산되는 데 비롯한 것입니다. 

WTI가 기준원유로 채택된 것은 1980년대 초에 소규모 물량 단위로 시작한 원유의 선물거래에서 당시 송유관망을 이용 소규모 물량 단위로 수송되던 WTI를 기준원유로 채택한 데 있습니다. WTI는 미국 내 시장에 국한함에도 불구하고 NYMEX의 기준원유라는 점에서 국제 석유시장에서 원유시황의 선행지표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거래되는 선물거래 계약 물량이 하루 약 5억 배럴에 달할 정도로 방대하여 가격 투명성이 제고된 것도 세계 석유시장 참여자들이 WTI를 기준원유로 수용할 수 있는 요인입니다.  WTI는 주로 뉴욕상업거래소(NYMEX)와 미주지역 석유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원유의 가격을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2. BRENT (유럽시장의 기준유로 통용, 전세계 모든 원유의 3분의 2가 브렌트유 기반으로 가격 산정 기준)

오늘날 전세계 모든 원유의 3분의 2가 브렌트유를 기반으로 가격이 산정됩니다. 바다에서 추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송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실, Brent유는 영국령 북해의 Brent 등 9개의 유전에서 생산되는 원유 브랜드로서 유럽시장의 기준유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하루 약 75만 배럴 생산되는 이 원유는 풍부한 유동성, 인지도, 수용성 등으로 인해 대서양 연안 국가들에게 현물거래 및 기간계약 거래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죠. 유럽 원유와 아프리카 원유도 현물거래에 있어서 독립적인 가격으로 거래되지 않고 Brent 대비 가격차이를 기준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Brent유는 공급부족으로 인하여 거래가 위축될 경우를 대비하여 노르웨이의 Oseberg 원유, 영국의 Forties 원유를 대체 원유로 지정, 선도계약의 인도 원유로 사용함으로써 Brent유가 기준원유로서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 북해산 브렌트유는 영국과 노르웨이 북해지역의 유전인 브렌트, 포티스, 오세 베르크, 에코 피스크의 네 곳에서 생산된 원유로 전통적으로 유럽과 아프리카 원유의 가격기준)


3. Dubai 유 (중동 및 아시아 원유시장의 기준, 우리나라 수입원유 가격의 가장 큰 영향력)

Dubai유는 중동 UAE에서 산출되는 고유황중질 원유로서 중동 및 아시아 원유시장의 기준 원유입니다. 
Dubai유는 1980년대 중반부터 이 지역의 원유 현물시장 및 기간계약 시장의 기준 원유로서 역할을 해왔으나, 생산량 감소, 거래의 위축, 가격의 불투명성의 문제를 겪어 왔습니다. 이에 석유거래 정보지인 『플랫츠』지는 2001년에 Oman 원유의 거래량을 Dubai유 가격에 포함시킴으로써 기준원유의 범위를 확대시켰습니다.  Dubai유 가격은 하루 15만 배럴의 Dubai유 생산량뿐만 아니라 하루 80만 배럴을 상회하는 Oman유의 현물거래량을 반영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거래의 유동성이 증가되고, 가격의 불안정이 크게 개선됨으로써 기준원유로서의 지위를 강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준원유로서 Dubai유의 월평균 가격은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쿠웨이트 등 중동 산유국들이 아시아 지역에 판매하는 원유의 기간 계약 가격 결정 공식의 기본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Dubai유와 Brent유 간의 가격차이는 국제 거래에 있어서 고유황 중질원유와 저유황 경질원유의 상대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동시에 아시아와 유럽의 석유시장의 상대적인 시황을 반영합니다.


참고로, 국제유가 품질은 두바이유 < 브렌트유 < WTI 로 WTI가 가장 우수한 품질로 분류됩니다.

 

 

원유 투자방법

 

원유 투자방법을 크게 나누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가. 원유 실물투자

나. 원유, 정유사에 간접투자

다. 원유 ETF/ETN 등 투자



가. 원유 실물 투자

모든 원유투자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산유국에서 나오는 원유 가격에 대해 차익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가장 원초적이고 직접적인 투자방법입니다. 즉, 직접 원유를 사서 보관하여 차익실현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는 일반 국민들은 하기 힘든 방법으로, 4대 정유 업계 (GS칼텍스, SK이노베이션, S-Oil, 현대오일뱅크) 및 중소 정유사 정도만 사용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이 방법은 엄청난 창고료도 발생하겠지요. 1배럴당 가져와서 쟁겨 놓아야하니까요.

1배럴당 100달러하고 수익률 10%라고 하면 -> 1배럴당 10달러 (약 1만원) -> 최소 1,000배럴있어야 10,000달러 (약 천만원)의 차익실현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1,000배럴를 보관하기 위해선 엄청난 창고료가 들지 않을까요? 기업규모가 아니면 힘든 형태라고 생각됩니다. 또는 소수 여유가 있으신 분들 빼고요 ㅎㅎ

 


나. 국내 원유, 정유사 주식투자

'가'방식과 달리 원유, 정유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으로, 그 회사 투자자로서 참여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바로 주식 투자방식으로, 이는 우리들에겐 친근한 방법이죠?^^ 

 1) 한국석유
  - 아스팔트 가공 및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한국석유공업주식회사로, 석유화학상품 및 스포츠 용품 등의 판매 사업 영위
  - 부채비율 적당하며, 재무적으로 준수한 기업

 2) S-OIL
  - 1976년 설립된 회사로 정유, 석유화확, 윤활기유 등으로 다각화된 사업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어 안정적인 매출 유지 가능
  - 대규모 정제시설, 높은 고도화설비 수준, 안정적인 내수 유통망 등을 바탕으로 견고한 시장지위와 서업경쟁력을 보유
  - 2020년 영업적 손실을 보았지만, 2021년에는 준수한 재무 성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됨. 충분한 유보율로 재무적으로 큰 손실만 발생하지 않으면 재무상 준수

 3) 중앙에너비스
  - 1946년 석유류 판매 등을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코스닥시장에 상장
  - SK에너지 주식회사와 대리점 계약을 맺고 휘발유, 경유 등 일반유와 LPG를 매입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 등에서 사업장을 운영
  - 년간 500~700억원의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음. 대기업들에 비해 큰 매출은 아니나, 재무적은 안정적 / 상대적으로 대기업보다 가벼워 상승 시에는 더 강하게 상승하는 경향이 있음

 4) SK이노베이션
  - 석유, 화학, 윤활유 제품의 생산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됨
  - 유가 상승 시 흑자 등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음 / 2020년 코로나 시국에 적자를 기록하기도 하였지만, 충분한 유동성과 재무건전성으로 2021년 다시 매출과 영업이익 회복

 

 

다. 원유 ETF/ETN 등 투자

ETF, ETN은 주식처럼 HTS, MTS에서 쉽게 매매할 수 있는 것으로, 주식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한 투자신탁(펀드)상품을 말합니다. 주식과 비슷한 형태로 보시면 이해하기 쉬울 듯합니다.

원유를 펀드와 같은 방식으로 투자하는 것으로, "가" 방식을 개인들이 할 수 없어 ETF, ETN 등으로 대체하여 투자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지 현물이 아닌 선물이라는 점만 차이가 날 뿐이지요.

원유관련 ETF에는 정말 많은 종목이 있습니다. 그만큼 투자가치가 있는 종목임을, 많은 투자자들이 찾는 종목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중 주요한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KODEX WTI원유선물 (H)  1배수 /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거래되고 있는 WTI 원유 선물 가격으로 산출되는 기초지수( S&P GSCI Crude Oil Index Excess Return)의 추종을 목표로 하는 ETF

KODEX WTI원유선물 (H) 차트

 

 2) TIGER 원유선물 Enhanced (H) 1배수 / 선물시장(NYMEX)에 상장된 WTI원유 선물가격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지수로서, 선물투자시 발생 하는 롤오버비용(Roll over Cost)을 반영하여 산출 / TIGER 원유선물 Enhanced의 가장 큰 특징은 WTI원유선물의 최근월물과 차근월물의 가격차가 0.5% 이상인 경우 발생시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롤 오버

    ⇒ 발생시점이 상반기(1월~6월)인 경우  : 당해년도 12월물로 롤오버
    ⇒ 발생시점이 하반기(7월~12월)인 경우 : 익년도 12월물로 롤오버

 3) KBSTAR 미국&P원유생산기업(합성H) 미국 상장된 원유/가스 탐사, 생산하는 기업으로 구성 및 추종하며, 미국 기업에 투자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

 4) 신한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 (H) : 2배수 / NYMEX에 상장되어 있는 WTI원유 선물의 일일 수익률을 2 배수로 추적

 5) 삼성 레버리지 WTI 원유 선물 ETN : 2배수 / NYMEX Crude Oil선물(이하 WTI선물) 일간수익율의 2배에 해당하는 수익을 추구

 

그 외에도 찾아보시면 다양한 상품들이 있으며, 각 상품마다 투자방식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비교하여 꼭 자기에게 맞는 투자 종목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2배 / 레버리지 / ETN 등은 변동율이 높기 때문에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참고로 2020년 유가 사건 이후로, 레버리지, 인버스 2X ETF, ETN 등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있는 종목은 교육이수를 하셔야 투자 할 수 있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교육사이트 : https://www.kifin.or.kr/common/greeting/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