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경제] 장기 수익률이 높은 사람이 "진정한 고수"

BS blog 2024. 8. 29. 22:16
반응형

코로나 이후로 주식투자에 대한 관심이 올라가면서 투자자들이 많이 생긴 만큼, 많은 얘기가 오고가는 것 같습니다. 특히 오늘만하더라도 "수익 10%, 수익 30%" 등 자랑하는 얘기들도 많습니다. 그럼 왠지 배도 아프고 억울하고...  나의 계좌를 보면 파랑불이 많은데 괜시리 심술도 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억울해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사실 그들 중 90%는 장기간 또는 주식투자 시작일기준으로 보면 수익률이 (-)마이너스인 사람이 대부분이니까요.



진정한 고수는 장기수익률이 높은 사람이다.

사람들은 보통 한 번 돌 던져서 맞춘 즉 잘된 것만 보거나 그것만 얘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실제 장기간 기준으로 보면 수익률이 좋지 못한 사람이 대부분이라는 것, 아시나요?
단기간적으로는 원숭이에게 투자를 시켜도 수익률이 상당하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주식시장에서 반정도는 상승하고 반은 하락하기 때문이죠. 만약 시장상황까지 좋다면 원숭이도 단기간 "대박"을 낼 확률이 올라가게 됩니다. 
이런 점에서 단기간의 수익률은 잘되면 좋고 감사하지만 큰 의미를 두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니 단기간에 고수익 내는 것보단 장기간에 어떻게 수익을 낼지, 수익을 유지할지 공부하는 게 좋습니다. 진정한 고수는 좋은 시기에도 수익내지만 시장이 안 좋은 상황에도 계좌를 잘 지키는 사람입니다.

만약 계속 수익률 자랑을 한다면 1달 내 수익 등 단기간이 아닌 최소 2년, 5년 이상 등 장기간 기준으로 수익률을 보여달라하면 어떨까요? 그렇게 말할 수 없다면 상대방의 자랑을 그럴려니 흘러들으시며, 본인만의 투자에 집중하여 한 발짝 나아가보세요~ 언젠가는 본인의 계좌가 더 자랑할만해질테니까요.


국내시장에서도 유효할까?

사실 국내 시장에선 장기투자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은 사실입니다. 단기투자가 거의 대부분이고 그 속에서 홀로 장기투자로 살아남기 어렵지요. 그러나 그 속에서 종목 선정을 잘해서 장기 투자로 큰 수익내시는 분도 존재합니다. 그러니 본인이 장기투자가 맞다면 국내에서 장기투자 가능하므로 위축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과거와 달리 해외투자도 쉽게 할 수 있어 국내 시장외에도 또다른 기회의 장이 있으므로 투자 실력만 된다면! 충분히 좋은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