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경제] 선물거래란 무엇인가?

BS blog 2023. 8. 21. 20:27
반응형

 

1. 선물거래란?

장래의 일정한 시기에 상품을 넘겨준다는 조건으로 현재 시점에서 가격을 정해 매매 계약을 하는 거래를 선물 거래를 말합니다. 

원자재, 외환 등 다양한 선물거래라 존재하는 데, 그 중에서 주식 선물은 특정 가격과 미래에 합의된 날짜에 주식을 사고 팔겠다는 금융 계약입니다.

주식 선물은 특정 주식을 미리 정해진 가격과 정해진 날짜에 사고팔기 위한 미리 계약하는 것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이를 가격과 판매를 보장하고 시장의 방향을 추측하는 데 사용한다면, 헷지 또는 이익을 창출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금융상품인 거죠. 

선물이란, 쉽게 설명하면
기후 변화 등으로 예상치 못한 가뭄으로 농산물 가격이 상승할 것을 대비하여 
1달 후 해당 농산물 가격을 "1,000원"에 사기로 미리 계약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가뭄으로 가격이 2,000원으로 인상되어도 선물로 계약한 1,000원으로 구매하게 되는 것이죠. (헷지 기능)


주식으로 설명하면, 테슬라 주식 선물을 산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선물거래로, 3개월 뒤에 테슬라 주식 100주를 구매하기로 결정하고, 가격은 주당 1,000달러로 계약하였습니다. 이후 3개월 뒤에는 100주에 대해, 1,000달러로 매수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3개월 뒤에 테슬라 주식이 1,500달러가 된다면 
저는 1,500달러를 1,000달러에 구매할 수 있으니 1주당 500달러 이익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즉, 500달러 *100주= 50,000달러의 이익을 달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선물거래는 여러 가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선물거래를 하는 이유

왜 사람들은 주식 선물을 살까요?
 1) (헷지 목적) 사람들이 이렇게 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시장 변동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미래 가격을 보장함으로써 투자자들은 불리한 가격 움직임에 대해 "헷지"할 수 있습니다.

 2) (이익 목적) 사람들은 또한 주식 선물을 이용하여 시장의 방향을 추측함으로써 이익을 창출합니다. 만약 투자자가 주식의 가격이 크게 오를 것이라고 믿는다면, 그들은 주식 선물을 이용하여 더 낮은 가격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위의 테슬라 사용 사례에서 선물 계약의 소유자는 3개월이 지나기 전에 계약을 매각하여 주식에서 얻은 이익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주식 선물을 살 때 가장 큰 매력 중 하나는 전액을 선불로 지불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주식 선물은 종종 마진으로 팔립니다. 이것은 당신이 보통 10-20%의 보증금으로 계약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현재 가진 현금보다 훨씬 더 많은 금액을 매수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100만원짜리 주식을 단지 20만원에 구매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 가진 돈보다 더 높은 가치의 자산을 구매할 수 있게 해주는 레버리지효과는 손해 볼 경우, 원금보다 더 큰 피해를 볼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3. 선물거래 VS 옵션거래

선물과 옵션은 종종 혼동될 수 있는 두 가지 용어입니다. 둘 다 주의해야 할 중요한 차이점이 하나 있습니다. 둘 다 미래의 주식을 정해진 가격과 정해진 날짜에 살 수 있게 해줍니다. 하지만 주식 선물은 투자자가 지정된 날짜에 매매를 해야 하는 구속력 있는 계약입니다. 즉, 지정된 날짜에 해당 주식을 합의된 가격에 사야 합니다.

반면 스톡옵션은 약정된 주식을 정해진 가격과 날짜에 살 수 있는 권리를 주지만 의무적으로 살 필요는 없습니다. 옵션은 구매하지 않고 계약이 만료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