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용어] 인플레이션

BS blog 2022. 6. 4. 12:33
반응형

개 요

경제학에서 인플레이션(inflation) 또는 물가상승(物價上昇)은 한 국가의 재화와 용역 가격 등의 전반적인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동시에 해당 국가의 통화가치 하락과 구매력의 약화현상을 가져옵니다. (화폐가 너무 공급되다보니 자동적으로 가격 하락 - 수요, 공급 법칙)

인플레이션의 주요원인으로는 유통되는 통화공급의 증가 등이 있으며, 구체적인 원인을 바라보는 관점은 경제학파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또, 인플레이션은 통화의 팽창뿐 아니라 소비자 투자, 재정지출 등 수요 확대에 의하여 생기기도 합니다. 이것은 그러한 부문에서의 초과수요를 통하여 물가의 상승이 촉진되기 때문입니다.  인플레이션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중의 하나는 종합물가지수(소비자종합물가지수)입니다.  이것이 단위시간당 얼마나 변하는지가 인플레이션이 결정되는 요소입니다.


* 코로나 이후 인플레이션 발생 주요 원인 : 
 1) 경기 부양을 위한 지속적인 화폐 발행 및 공급
 2) 코로나로 물류 시스템에 어려움 발생, 우크라이나 사태 등 공급 부족 현상도 동시적으로 발생하면서 인플레이션 가속화 



인플레이션의 효과

인플레이션은 경제에 여러가지 방향으로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인플레이션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돈을 저축하는 것에 대한 기회비용이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미래의 인플레이션 증가의 불확실성은 투자 및 저축의욕을 저하시킬수 입니다. 그리고 인플레이션율이 충분히 높다면 소비자들이 물가상승에 대비하여 생필품을 비축(사재기)할 것이기 때문에 물자부족 현상이 발생할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의 긍정적인 영향으로는 중앙은행이 실질 금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보장함(경기 침체를 완화하기 위함)과 동시에 비 화폐 자본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장려한다는 것입니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BIS 비율 / 자기자본비율  (0) 2022.07.09
[용어] 지주회사란?  (0) 2022.06.25
[용어] 스태그플레이션  (0) 2022.06.01
[용어] MSCI 란?  (0) 2022.05.29
[경제] 전세권 설정, 말소등기  (0) 2022.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