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재무제표 - 이것만은 보고 투자하자 ②

BS blog 2021. 11. 14. 19:47
반응형

안녕하세요? 주말은 저녁 잘 쉬고 계시는지요?

오늘은 지난 번에 글에 이어 재무제표에서 꼭 확인해야 할 사항 2탄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수익성과 관련된 지표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 ROE (자기자본이익률)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서 자기자본이익률을 의미합니다. 회사의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 대비 얼마나 많은 수익을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입니다.

워렌버핏께서 매우 강조하시며, 최근 3년간 연평균 15% 이상인 종목에 투자할 것을 추천해서 더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는 나의 회사가 10억의 자기자본(주주지분)을 가지고 회사를 운영해 올해 1억원의 수익을 냈다면 10%의 ROE 의미합니다. ROE가 20%라면 10억의 자기자본 대비 2억원의 수익을 냈다는 의미입니다.

ROE가 높다는 건 이처럼 투입한 자본에 비해 당기순이익을 많이 냈다는 뜻입니다. 효율적인 영업, 경영활동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통상 ROE는 회사채 수익률보다 높으면 양호하다고 봅니다. 당연히 시중의 정기예금 금리보다는 높아야죠. (최근 정기예금 약 1%대)

ROE의 수치가 높을수록 투자금 대비 당기순이익이 높이며 수익성이 좋다는 걸 의미합니다.

 

 


ROE = 당기순이익 / 평균자기자본

 

한국 대표 포탈사이트인 네이버의 ROE와 그 비교 기업들의 ROE 살펴볼까요?

네이버 ROE보고 잘못된 것 아닌가해서 다시 보았는데..정말 엄청 높은 수치네요.. 그리고 카카오는 준수하고, 아프리카 TV ROE 기준으로 좋은 투자종목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외 정보도 봐야겠지만 ROE기준으로만 보았을 때 말이죠.

ROE가 높으면 당연히 좋지만 그 업종마다도 ROE 차이가 있기에 그 업종의 평균 ROE 또는 비교 기업의 ROE와 비교해서 분석하시면 더욱 의미는 지표가 될 것입니다.

 

2. 영업이익

 

영업이익은 영업활동을 통해 순수하게 남은 이익을 말합니다. 회계적으로 설명드리면

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관리비

매출원가는 제품을 만들거나 상품을 구입하는데 들어간 비용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원재료 매입비용, 상품매입비용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판매관리비는 상품의 판매활동비나 기업의 유지관리를 위해 지출된 비용을 말합니다. 특히 인건비가 여기에 속하죠. 즉, 영업이익은 인건비를 감하고 남은 이익을 의미한다는 걸 여기서 알 수 있죠. 그리고 세금, 공과금, 감가상각비, 광고비 등이 있습니다.

영업이익이란 회사의 수익성을 평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그 회계년도에서 회사의 성적표와 같은 것입니다. 다들 영업이익에 주목하는 이유가 여기 있고, 이 때문에  회사입장에선 투자자 유치를 위해 영업이익을 조금 더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죠.

반도체관련 업종을 살펴보면, (아래 주황색부분) 삼성전자의 영업이익과 타 기업들과의 영업이익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보시면 삼성전자가 압도적으로 1등으로, SK 하이닉스보다도 약 6배의 영업이익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영업이익만 보아도 기업들의 규모를 알 수 있죠. 또한 이를 통해 주가에 비해 기업이 저평가되었는지 확인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런데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영업이익을 비교하는 건 의미가 없습니다. 자산 등 모든 금액에서 단위 차이부터 날 정도로 규모 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중소기업의 자본 1천만원에서 수익률 10%를 달성하여 100만원의 수익이 발생했다면 나름 준수한 성적표입니다. 그러나 대기업의 자본 1억원에서 수익률 1%를 달성하여 100만원의 수익이 발생했다면 장사를 잘했다고 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같은 100만원이라도 수익률에서 차이가 나기에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영업이익을 비교하는 건 의미없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럼 규모가 차이가 나는 기업간의 영업이익을 비교하는 법은 없을까요? 다행히 있습니다. 그 지표가 영업이익률입니다. 영업이익률은 매출액에서 발생한 영업수익에 대한 영업이익의 비율입니다 

% 개념으로 보여주기에 그 기업의 성적표를 다른 기업과 쉽게 비교할 수 있어, 영업이익보다도 더 유용할 때가 많다는 점! 꼭 기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위의 자료 기준으로 2020년도 누가 더 수익성이 높은지 비교하면, 15.71로 영업이익률이 더 높은 SK하이닉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