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소비자전자제품 박람회란?
최근들어 CES 종종 뉴스에서 등장하죠? CES는 미국 소비자 기술협회(CTA: 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가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ICT 융합 전시회로, 1967년 미국의 뉴욕시에서 시작되었습니다. 1978년에 와서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여름 CES와 시카고에서 열리는 겨울 CES가 격년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1995년부터는 네바다주의 라스베이거스로 개최지를 옮겨 진행되고 있습니다. 2015년부터 중국의 상하이에서 별도로 CES ASIA 도 개최되고 있습니다.
CES는 The international Consumer Electronics Show의 약자로, 전시회의 풀네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본질적으로는 전자제품 위주의 전시회로 시작되었습니다. 현재 기준으로 '전자제품'이라고 하면 훨씬 폭넓은 범위의 기기를 의미하지만, 개최가 시작되었던 60년대 후반의 전자제품은 대부분 가전제품이 주를 이루었죠. 때문에 CES는 한국어로 번역했을 때 '세계가전제품전시회', '라스베이거스 소비재 전자제품 박람회' 등 다양한 용어로 쓰이기도 했습니다. 본래의 의미를 직역하자면 ''라스베이거스 소비재 전자제품 박람회'가 더 적절한 번역으로 보이고, 실제로 이 번역 용어가 가장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다만 개최장소만을 강조하는 명칭이다보니 전세계의 ICT 제품과 기술이 총 집결하는 현재의 CES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용어라는 지적도 있어서 최근에는 '국제전자제품박람회'라는 용어로도 자주 쓰이고 있죠.
CES 전시회의 위상은 사물인터넷, AI 등 사업이 성장하면서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의 전시회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한 상태입니다.
기 간
보통 매년 초에 개최되며 2024년에는 1월 9일부터 4일간 개최되었습니다., 전 세계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우리의 일상을 바꿀 혁신기술들을 선보여 인기가 많은 전시회 중 하나입니다. 2025년 1월 7일 ~ 1월 10일에 개최될 예정입니다.
CES 2024 트렌드 : ‘수평’
CTA는 매년 전시에 앞서 한 해의 기술 흐름을 짚어보는 ‘주목해야 할 기술 트렌드(Tech Trend to Watch)’ 행사를 진행합니다. 올해 이 행사에서는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 모빌리티(Mobility), TV, 콘텐츠, *인간안보(Human Security) 등의 수직적인 산업군과 함께, 전 산업군이 공통으로 지켜봐야 하는 수평적인 흐름으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포용성(Inclusivity)을 주요 키워드로 제시했으며, 실제로도 이번 CES 2024에서 수직적인 산업군과 수평적인 흐름이 맞물려 ‘AI’, ‘친환경 기술’, ‘모빌리티’, ‘스마트홈’, ‘디지털 헬스’, ‘접근성’ 등이 주요 트렌드였습니다.
생성형AI를 넘어서는 ‘인공지능 생태계’
2023년은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가 시장을 강타했었는데 사람과 같이 대화가 가능한 챗GPT 등의 거대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은 이제 누구나 익숙해져야 하는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프로세서와 SK하이닉스의 HBM(High Bandwidth Memory, 고대역폭 메모리) 등이 발전하고, 그 위에 오픈AI, 구글 등의 생성형AI 기술이 더해지면서 형성된 거대한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CES 2024에서 자동차 산업은 생성형AI가 가져오는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주었죠. AI가 제한된 명령어로 소통하는 것에서 나아가 사람과 대화하는 수준이 되면서, 자동차는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생활공간으로까지 변해가고 있습니다. CES 2024에서 만난 아마존의 관계자는 “더 좋은 LLM이 향후 자동차의 경쟁력을 결정할 것”이라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이외에도 CES 2024에서 구글은 사진 편집, 이미지 생성, 회의 요약 등 스마트폰과 PC 환경에서의 다양한 AI 응용 사례를 보여주었으며, 주요 스타트업들도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만화를 그려주거나, 음악과 뮤직비디오를 만들어주는 등 다양한 AI 서비스로 혁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CTA는 AI를 연구하고 개발하는 회사뿐만 아니라 모든 산업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혁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앞으로 AI 기술이 기반 기술로서 *로보틱스(Robotics),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스마트홈, 디지털 헬스 등의 발전을 이끌 것으로 전망했다.
지구를 기후위기에서 구해내는 ‘친환경 기술’
기후위기 대응이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르면서, 친환경 에너지, 에너지 저감, 폐기물 재활용, 배터리, 푸드테크(Food-tech) 및 애드테크(ADtech)와 같은 친환경 기술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CES 2024에서는 SK, 보쉬, 현대 등은 그린수소, 폐기물 수소, 암모니아, 수소연료전지 등 다양한 관련 기술을 발표했었죠.
그 외에도 ‘스마트홈 서비스’(사물인터넷), 디지털 헬스 등 미래 사업을 이끌어가는 다양한 제품을 볼 수 있어 앞으로도 기대가 되는 전시회입니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비트코인, 사상 첫 ‘1억원’ 돌파 (원화기준) (0) | 2024.03.11 |
---|---|
[경제] 금리추이 (2024년 3월 기준) (5) | 2024.03.11 |
[경제] 단기 - 수익기대종목 (0) | 2024.03.01 |
[경제] 단기 - 수익기대종목 (0) | 2024.02.26 |
[경제] 한국가계부채, 정말 심각한가? (2) | 2024.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