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경제] 연말정산-결국 110만원 세금 폭탄으로...

BS blog 2025. 2. 20. 20:47
반응형


연말정산,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긴장하게 되는 단어일 겁니다. 13월의 월급이라는 기분 좋은 결과를 얻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저처럼 세금을 추가로 납부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는 분들도 적지 않으실 텐데요.



이번 연말정산 결과를 받아보고 솔직히 깜짝 놀랐습니다. 무려 110만원이상 세금을 더 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기 때문입니다. 적지 않은 금액이라 그런지 쉽게 적응이 되질 않네요. 씁쓸한 마음 감출 길이 없습니다.

"올해부터라도 개인연금을 들어야지" 라고 마음 먹었었지만, 막상 '돈이 묶인다'는 생각에 망설였던 과거의 제 모습이 후회스럽게 느껴집니다.  조금이라도 빨리 개인연금에 가입했더라면, 이번 연말정산에서 이렇게 큰 세금 폭탄을 맞지는 않았을 텐데 말이죠.  정말이지 '미리 준비하지 못한 게 패착이었구나' 라는 생각이 머리 속에서 떠나질 않습니다.

돌이켜보면 개인연금의 필요성을 몰랐던 것도 아닙니다. 이미 제 블로그를 통해 개인연금, IRP, ISA 와 같은 절세 금융상품들을 꾸준히 소개해 왔었으니까요. 글로만 알고 있었을 뿐, 정작 저 스스로는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했던 점이 너무나 아쉽습니다.

저한테는 세금 110만원이상이면 정말 큰 금액입니다. 이 돈이면 맛있는 음식을 몇 번이나 사 먹을 수 있고, 갖고 싶었던 물건도 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세금으로 고스란히 국가에 납부해야 하는 돈이 되어버렸습니다. (어찌보면 그 돈이 흘러흘러 사회 발전을 위해 쓰인다 생각하면 좋게 생각할 수 있지만요)

이번 경험을 통해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세금은 미리미리 준비해야 하는 것이라는 것을요. 특히 개인연금과 같은 절세 상품은 장기적으로 보면 분명 큰 도움이 됩니다.  당장 눈앞의 돈이 묶이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미래의 세금 부담을 덜어준다는 점을 생각하면 충분히 투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아직 개인연금 가입을 망설이고 계신가요? 저처럼 후회하는 일이 없도록, 지금부터라도 개인연금, IRP, ISA 와 같은 절세 상품에 대해 알아보시고,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하여 꾸준히 준비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미리 준비하는 자만이 웃을 수 있다는 것을, 이번 연말정산을 통해 다시 한번 깨달았습니다.

 

 

2025 연말 정산 대안

 

1. 연금저축펀드와 개인형 IRP: 세액공제 혜택으로 연말정산 '환급' 준비
- 바로 연금저축펀드와 개인형 IRP (퇴직연금 IRP) 에 가입하기 (연말정산 시 가장 확실하게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
- 개인형 IRP는 회사에서 입금되는 것은 공제 안되므로 직접 IRP 계좌에 입금하기

2. 세액공제 전략
1) 연금저축펀드: 연간 600만원 납입하여 세액공제 최대한 받기(연금저축에서는 최대 600만원까지 인정됨)
2) 개인형 IRP: IRP에서도 세액공제가능하여 나머지 300만원도 세액공제 받기 (연금저축펀드와 합산하여 최대 900만원까지 가능)
3) ISA : 이 상품은 사실 비과세 혜택만 있는데 만기시에 연금 계좌로 입금할 경우(전환할 경우) 최대 300만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단, 전환 금액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추가로 최대 300만원까지 세액공제되어 ISA계좌에서 3,000만원있어야 최대 공제 가능)
=> (이론상으로)  1) 600만원 + 2) 300만원 + 3) 300만원  = 1,200만원 * 13.2~16.5% = 세액공제금액 

4) 그 외 방법 : 결혼, 다른 사람들과 얘기하다가 듣게 되었는데 결혼을 하면 세제혜택이 상당하다더라구요. 정리한 자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 배우자 공제: 배우자 소득 적으면 (연간 100만원 이하) 150만원 소득공제!
✅ 부양가족 공제: 배우자 부모님, 형제자매 부양하면 1인당 150만원 추가 소득공제! (소득, 나이 요건 확인!)
✅ 주택자금 공제:주택담보대출 이자, 전세자금 대출 원리금 갚으면 최대 1,800만원까지 세액공제! (주택 종류, 대출 조건 확인!)
✅ 혼인 증여재산 공제: 결혼 2년 안에 부모님께 증여받으면 최대 3억원까지 증여세 공짜!
✅ 자녀 세액공제: 자녀 낳으면 첫째 15만원, 둘째 30만원, 셋째부터 60만원 세액공제! 출산/입양 시 추가 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