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경제] 연말정산 시즌-연금저축이 답일까?

BS blog 2025. 1. 27. 13:54
반응형

[요약]
연금저축, IRP = 양날의 검, 세액공제혜택이 크지만 큰 돈이 묶일 수 있으며 이유없이 해지시에는 환급받은 세금을 다시 내야 함, 즉 세금폭탄 / 그 돈을 연금받을 때까지 가져갈 수 있다면 매우 좋은 상품이지만 그게 아니라면 가입 자체를 고민해보아야 합니다.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매년 반복되는 일이지만, 조금만 신경 쓰면 생각보다 큰 세액 환급을 받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긴 하지만, 과거에 비해 환급받는 일이 많이 어려워진 건 사실입니다. 저 또한 과거엔 몇 만원씩이라도 환급을 받곤 했는데 최근에는 환급을 못 받고 있습니다.

사실 직장인이 노릴 수 있는 세액공제는 많지 않습니다. 크게 나누면 
1. 기본 - 인적공제, 국민연금공제, 건보료 공제, 카드사용료, 주택관련(아파트 원리금상환 등), 보험료 
2. 금융상품을 통한 세액공제(연금저축, IRP 등)
3. 기부 (많지는 않겠죠)

여기서 보면 결국 선택할 수 있는 카드는 2번이 많을 듯한데 세액공제 혜택도 매우 큽니다(개인연금저축+IRP 합산한 세액공제한도는 연 900만원*13.2% 또는 16.5%로 최대 1,485,000원 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음)
즉, 어찌보면 연금저축은 놓치면 후회하는 절세 상품 중 하나인데, 
저는 잘 쓰면 매우 좋지만 잘못쓰면 위험한 양날의 검이라 생각됩니다.


연금저축이란 무엇일까요?
연금저축은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 꾸준히 저축하고, 세제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납입한 금액에 대해 연말정산 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고, 운용 수익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참고로 ISA계좌는 세금공제혜택없습니다)


연금저축, 왜 좋을까요?
- 세액 공제: 매년 납입액의 일정 비율에 대해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운용 수익 비과세: 펀드, ETF 등 다양한 상품으로 투자하여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노후 대비: 꾸준히 저축하여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 최대 약 백만원으로 잘 활용하면 백만원이상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 주의해야 할 점은?
- 중도 해지 시 불이익: 중도 해지 시 세액 공제 받은 금액을 반납해야 하고, 운용 수익에 대한 이자 소득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 사유가 연금저축 또는 IRA가입 시 가장 주의해야 하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2023년 연금저축 등으로 세액공제 혜택을 받아 1,000,000만원 환급
2024년 연금저축 등으로 세애공제 혜택으로 500,000만원 환급받았던 사람이 만약 2025년에 그 계좌를 해지한다면
이 계좌를 통해 환급받았던 1,500,000원을 다시 세금으로 내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연금저축은 연금을 받기 위함이고 그에 따라 세금혜택을 준 것인데, 이를 연금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해지 시에는 세금혜택을 받았던 걸 다시 갚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세금폭탄이 되는 것입니다.


- 납입 한도: 연간 납입 한도가 정해져 있으므로, 이를 초과하여 납입할 경우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연금저축+IRP 합산하여 세액공제 금액 최대 900만원*13.2% 또는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