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주요지표 / 우선주, 보통주
1. 주요 지표와 이벤트
■ 일자 : 2023.03.03
■ 개요 : 3월 1일 휴장하면서 해외 시장 흐름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 불안했지만, 코스닥 등 흐름이 준수했던 장이었습니다. 특히 코스닥 800포인트를 넘은 건 유의미한 흐름인 듯 합니다.
- 코스피 상승마감 : 2,432.07 (+0.17%)
- 코스닥 상승마감 : 802.42 (+1.93%)
- S&P : 3,981.35 (+0.76%)
- 달러 환율 : 1,304.50
- 금 시세 : 1840.5
- 유가 WTI : 78.16
1. OOO우? 우선주를 의미
현대차우 등은 우선주를 의미합니다. 그에 반해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주식은 "보통주"라고 합니다. 즉, 유통되는 주식을 크게 나누면 보통주와 우선주로 나뉩니다.
2. 보통주와 우선주 차이 - 의결권 여부
보통주는 주식회사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주식으로, 의결권이 있습니다. 의결권있다는 것은 보유비중이 높으면 이사회 등에 참여할 수 있고, 회사의 주인이 될 수 있음을 의마합니다. 그래서 주식을 1개만 가지고 있더라도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 행사를 할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해 우선주는 보통주와 다르게, 의결권이 없습니다. 우선주를 가지고 있어도 의결권이 없어 주주총회에서 특별한 권한이 없습니다.
3. 보통주와 우선주 차이 - 배당비율 차이
우선주의 장점은 보통주와 달리 배당을 '우선'하여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회사 이익에서 1차적으로 우선주 배당금을 우선 제외하고, 남은 금액에서 보통주 주식에 배당을 할지 말지 결정한다는 의미입니다.
조금 더 풀어쓰면 (보통) 우선주에는 보통주에 비해 1~2% 정도 배당금이 더 높습니다. 또는 우선주에는 배당이 있지만, 보통주에는 배당이 없는 경우도 있고요.
이 때문에 단순 배당금 목적이라면 우선주가 더 선호됩니다.
4. 보통주와 우선주 차이 - 유통 주식수 차이
일반적으로 우선주는 보통주에 비해 유통 주식수가, 즉 유통 물량이 더 작습니다. 이 때문에 기업의 호재나 악재에 더 예민하게 반응하여 민감도가 높게 나타나죠.
이러한 특성은 가끔 장점으로도 작용합니다. 유통물량이 작다보니 좋은 소식에 연속 상한가가 나타날 때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삼성중공우는 이틀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었습니다.
어찌보면 한 번 제대로 잡으면 물량이 적어 엄청난 수익을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반대의 경우는..상상만 해도 너무 아찔하네요..
5. 국내 우선주 주의할 점 - 생각보다 배당률이 낮을 때도 있다.
국내 우선주 투자할 때 주의할 점은 우선주라고 무조건 배당률이 높은 게 아니라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투자하기 전에 꼭 그 종목 배당정도를 보고 투자하시는 게 좋습니다. 저 또한 아이러니하게 우선주가 배당이 높다고 위에서 말해놓고 배당률이 낮을 때도 있다고 하니 민망하네요. 그러나 한국 주식 자체가 배당정도가 미국주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또한 특정 종목은 배당 자체가 낮은 종목이 있어 어쩔 수 없네요..
이는 몇몇 국내 투자자들은 우선주를 선호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또한, 꺼려하는 또 다른 이유는 물량이 작다보니 상한가 가기도 쉽지만 팔 때 물량이 작아 파는 것도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현금 환급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경향이 있죠.
6. 마치며..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고, 위와 같이 단점도 존재합니다. 그러나, 우선주만의 특징있고 장점이 있기에! 이를 잘 활용하여 투자를 한다면 좋은 투자상품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경기가 안좋아 마땅히 투자할 곳이 없을 때 또는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을 찾고자 할 때에는 우선주를 찾아 관심종목에 넣어 투자하곤 합니다.